application.yml을 Git Repository에 업로드할 때, .gitignore에 *.yml을 추가하여 아예 업로드하지 않거나 %{변수_이름}으로 작성하고 서버에 환경변수를 추가하여 민감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.
이제까지는 전자의 방법으로 관리하였는데 가끔 yml 파일을 분실하여 팀원에게 요청하며 불편함을 느꼈다.
따라서 후자의 방법으로 관리하기 위해, 서버에서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방법
- ./bashrc: 특정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환경변수. 대화형 쉘 세션이 시작될 때마다 실행되는 스크립트
- /etc/profile: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변수. 로그인 세션에서 처음 시작될 때 실행되는 스크립트
두 방법의 적용 방법은 거의 동일하며, 어느 파일에 환경변수를 작성하는가 정도의 차이만 있다.
적용
- 두 방법 중, 원하는 파일의 맨 마지막에
export <name>=<value>를 작성한다.
이때, /etc/profile을 수정하고자 하면sudo su명령어로 root 권한을 얻자.
- 저장 후, 쉘에
source <파일명>을 입력한다. 파일 변경사항을 즉시 적용하는 명령어다.
echo $<name>으로 정상적으로 적용됐는지 확인한다.
- 스프링 기준,
${name}으로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